CMM Admin

건강정보
2015.04.08 15:01

방사선 치료의 과정

조회 수 8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방사선치료의 과정

1. 초진

방사선치료가 필요한 환자로 결정이 되면 방사선치료의 진행 절차와 일정 등 구체적 계획과 방사선치료에 따른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한 설명을 듣게 되며 이 후 치료 준비단계인 모의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항암약물요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 후 수술부위에 문제가 없는 한 3-4주정도 후에 치료준비 및 모의치료가 시작되며 항암약물요법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마지막 항암약물요법이 끝나고 3-4주 후에 치료준비 및 모의치료가 시작됩니다.

2. 모의치료

모의치료란 방사선치료의 범위를 정하고 방사선 치료를 위한 설계 및 치료계획을 세우는 과정입니다. 방사선 치료는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시행되기 때문에 매번 같은 부위에 일정한 양의 방사선이 조사되어야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여러 번의 치료 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유방암 환자의 경우 모의치료시 팔을 이마에 올려놓고 고정틀을 제작합니다. 또 CT 등의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치료부위를 잘 포함하면서 주변 구조물에는 손상을 가장 적게 줄 수 있는 방사선의 방향과 범위를 결정하게 되고 끝으로 피부에 특수잉크로 치료 범위를 표시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모의치료

우측 유방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계획

확정 치료 중심 표시

3.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는 모의치료 시 사용되었던 보조용구를 이용하여 동일한 자세를 재현한 후 준비된 치료 계획에 따라 시행합니다. 방사선을 조사하는 부위는 어떤 수술을 받았는지에 따라 다른데 유방보존술을 받은 경우, 수술을 시행하고 남은 유방에만 방사선을 조사하며 유방을 완전히 절제한 경우, 유방이 제거된 흉벽과 같은 쪽의 겨드랑림프절, 같은 쪽의 쇄골상부 림프절 부위를 모두 치료하게 됩니다. 한번의 치료에는 5-10분이 소요되며 총 6주정도의 기간 동안 치료를 받게 됩니다.

방사선치료

4. 추적 관찰

계획된 방사선치료를 모두 마치면 방사선치료 효과 판정, 재발유무 관찰 및 부작용 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외래 진찰이 필요합니다. 암 치료 후 재발없이 5년 이상 지나면 의학적으로 완치되었다고 하나 유방암의 경우 치료 후 10년이 지나도 재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정기적 검사 및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추적 관찰은 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외래에서 시행되며, 특히, 치료 부위에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특이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방사선종양학회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